
주소 : (58420) 전남 영암군 영암읍 녹암대동보길 128-1 (회문리)
연락처 : 061-624-9548 / 010-6246-7458
영암대동제도 분수쇼로 유명해졌으면좋겠습니다
영암이 관광지로 가고싶은고장 아사하고싶은곳
아이들을 자연과함께 키울수 있는곳으로 개발하고 발전하였으면 하는바램입니다
영암이 관광지로 가고싶은고장 아사하고싶은곳
아이들을 자연과함께 키울수 있는곳으로 개발하고 발전하였으면 하는바램입니다

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등록일 | 상태 | 부서명 |
---|---|---|---|---|---|
545 | 두드리면 열립니다 | 천진옥 | 22.09.13 | 완료 | 도시개발과 |
544 | 군수님께! | 김정기 | 22.09.08 | 완료 | 환경보전과 |
543 | ![]() |
임OO | 22.08.29 | 완료 | |
542 | ![]() |
유OO | 22.08.29 | 담당자지정 | |
541 | ![]() |
천OO | 22.08.27 | 부서지정 | 총무과 |
540 | ![]() |
서OO | 22.08.25 | 완료 | |
539 | 희망을 걸어 봅니다 | 천진옥 | 22.08.23 | 완료 | 도시개발과 |
538 | 영암군은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 계획 있나요? | 이다혜 | 22.08.19 | 완료 | 안전총괄과 |
537 | 3차례 공청회에도 불구하고 | 천진옥 | 22.08.18 | 완료 | 도시개발과 |
536 | ![]() |
오OO | 22.08.15 | 완료 | |
535 | 지원금 | 윤재민 | 22.08.14 | 완료 | 안전총괄과 |
534 | 무궁화 거리 조성 요청 | 최윤창 | 22.08.12 | 완료 | 산림해양과 |
533 | ![]() |
조OO | 22.07.31 | 완료 | |
532 | 공공 심야 약국 홍보건 | 김경배 | 22.07.29 | 완료 | 보건소 |
531 | ![]() |
박OO | 22.07.27 | 완료 |
- 관리담당
- 민원소통과 일반민원팀 이문희 ☎ 061-470-2037
- 관리자 ☎ 061-470-2400
의견쓰기
16 개의 의견이 있습니다.
2. 한마음회관 일원 전정은 농업기반팀, 산림해양과가 협의 하에 추진하였으며귀하께서 홈페이지를 통해 남겨주신 칭찬글에 농업기반팀과 더불어 직원들에게 큰 격려가 되었습니다.
3. 앞으로도 군민을 위한 행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2. 귀하께서 요청하신 용산마을길 보수 요청에 대하여 답변합니다.
3. 덕진면 용산리 2-11번지(구거) 일원을 점검한 결과 보수를 요청하신 도로는 한국농어촌공사 소관의 농업용 도로(콘크리트포장)이며 농업용수관로 연결공사를 위해 도로를 절단 및 철거 후 복구가 되지 않은 상황으로 사료됩니다.
4. 한국농어촌공사 영암지사(전화:061-470-5511)에 문의하여 도로 보수 민원을 접수하여 주시고,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, 우리군 건설교통과 토목팀(전화:061-470-2482)으로 문의하시면 성실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. 끝.
2. 귀하께서 요청하신 용산마을길 보수 요청에 대하여 답변합니다.
3. 덕진면 용산리 2-11번지(구거) 일원을 점검한 결과 보수를 요청하신 도로는 한국농어촌공사 소관의 농업용 도로(콘크리트포장)이며 농업용수관로 연결공사를 위해 도로를 절단 및 철거 후 복구가 되지 않은 상황으로 사료됩니다.
4. 한국농어촌공사 영암지사(전화:061-470-5511)에 문의하여 도로 보수 민원을 접수하여 주시고,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, 우리군 건설교통과 토목팀(전화:061-470-2482)으로 문의하시면 성실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. 끝.
2. 귀하께서 말씀하신 장군바위는 용산지석묘군 중 1기입니다. 기존 조사에 따르면 3기가 있었으나 훼손되고 현재는 1기만 보존되고 있습니다. 장군바위에 대한 유래는 확인된바 없고 마을에서 바위가 큰 이유로 ‘장군바위’로 부르고 있습니다.
3. 귀하께서 민원 제기하신 안내판에는 장군바위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마을 권역사업에 대한 안내판으로 훼손된 안내판은 관련부서과 협의하여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.
2. 귀하께서 말씀하신 장군바위는 용산지석묘군 중 1기입니다. 기존 조사에 따르면 3기가 있었으나 훼손되고 현재는 1기만 보존되고 있습니다. 장군바위에 대한 유래는 확인된바 없고 마을에서 바위가 큰 이유로 ‘장군바위’로 부르고 있습니다.
3. 귀하께서 민원 제기하신 안내판에는 장군바위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마을 권역사업에 대한 안내판으로 훼손된 안내판은 관련부서과 협의하여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.